본문 바로가기
인문지리/산업과 경제 공간

반도체의 글로벌 상품 사슬 변동과 지정학

by 디에고가르시아 2021. 11. 2.

 

 

https://foreignpolicy.com/2021/02/16/semiconductors-us-china-taiwan-technology-innovation-competition/

 

Semiconductors and the U.S.-China Innovation Race

The lifeblood of high-tech industries, semiconductors are at the heart of intensifying U.S.-China strategic and economic competition. Escalating trade tensions between these two superpowers and…

foreignpolicy.com

2021년 2월 16일 포린폴리시 기사 커버이미지

반도체 생산 기지로서 대만, 그리고 미중 지정학적 갈등을 한 장의 그림으로 너무 잘 보여주고 있음

이미지가 너무 좋아서 가져와봄

 

반도체 생산 기지로서 대만은 어떤 중요성이 있을까? 에 대한 경제지리적 탐구는

지정학적 갈등까지 연결될 수 있음

 

 


 

 

 

https://www.gzeromedia.com/the-geopolitics-of-the-chips-that-make-your-tech-work?xrs=RebelMouse_fb&ts=1619701522&fbclid=IwAR3uG7UfzDjEksab1W2rwL7ndZK5oiUCgUAX33FBorv8v3PLDBio3XYmLt8 

 

The geopolitics of the chips that make your tech work

A drought in Taiwan has exacerbated a pandemic-fueled worldwide chip shortage that has wreaked havoc on the US auto industry, and is shaking up the increasingly contentious geopolitics of global supply chains.

www.gzeromedia.com

2021년 4월 28일 GZERO 기사

 

 

The geopolitics of the chips that make your tech work

 

대만의 가뭄이 다음 컴퓨터 구입을 망칠 수도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만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술의 전기 회로를 결합하는 세계 최고의 반도체 생산국 중 하나이다. 휴대폰, 노트북, 자동차, 심지어 비행기까지도 모두 이 작은 컴퓨터 칩에 의존한다. 또 다른 이유로, 대만은 현재 거의 70년 만에 최악의 기후 변화와 관련된 가뭄을 겪고 있다. 대만 반도체 공장들이 엄청난 양의 물을 소비하기 때문에 이것은 문제이다.

 

그러나 더 넓게 보면, 가뭄 이전부터도 전세계적 반도체 부족 현상으로 글로벌 공급망 지정학이 뒤흔들리고 있었다.

 

COVID로 인해 공급/수요가 중단되었다. 팬데믹 초기에 전 세계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집에 격리된 사람들이 아마도 자동차를 덜 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래서 그들은 반도체를 더 적게 주문했다. 한편, 다른 회사들은 개인 컴퓨터와 비디오 게임 그래픽 카드를 위해 손에 넣을 수 있는 모든 칩을 찾았는데, 이 칩은 COVID 락다운 기간 동안 진열대에서 동이 났다.

 

1년 후, 자동차 제조사들은 잠금 방지 브레이크, 에어백, 내비게이션, 차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용 칩을 손에 넣을 수 없어 조립 라인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반도체를) 더 생산하면 되지 않나? 그건 어렵다. 반도체는 고도로 전문화된 제품이고, COVID로 심각한 차질을 빚은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다. 부품 하나가 누락되거나 늦어지면 칩을 만들 수 없다(후쿠시마 사태 때도 그랬다).

 

미국은 세계 최고의 반도체 생산국이지만 자체 칩의 대부분을 소비한다. 반면 가장 큰 소비국인 중국은 자체 생산도 많고 한국, 대만, 인도에서 공급받은 대부분을 소비한다. 나머지 세계의 다른 고객에게 남은 것은 거의 없다.

 

미국과 유럽의 대책은 무엇인가? 이들은 최근의 부족사태가 닥치기 전에 값싼 아시아 반도체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방법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들은 수백억 달러의 보조금을 확보하여 세계 유수의 공급업체들이 그들의 국경 내에 첨단 시설을 건설하도록 유인하고 있는데, 애리조나에 있는 대만 TSMC가 사례이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에서 국내 반도체 생산을 늘리는 것은 엄청난 비용이 들 것이고 현재의 부족분을 해결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한편, 중국인들은 세계 반도체 파이의 더 큰 조각을 얻기 위해 현금을 다 써버리고 있다.

 

대만은 유력자(big kahuna) 역할을 한다. 시진핑 주석이 대만을 합병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도 강하게 밀어붙이는 이유 중 하나는 대만의 반도체 제조 능력 때문이다. TSMC만 해도 전체 외국 기업의 절반 이상을 아웃소싱받는데, 이는 아이폰이 대만산 반도체에서 작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이 언젠가 대만을 본토와 통일하게 된다면, 중국은 공급을 통제함으로써 여러 국가들이 굴복하도록 절대적인 힘을 가지게 될 것이다. 마치 중국이 희토류로 하는 것처럼 말이다.

 

미국도 대만을 세계적인 반도체 강국으로 떠받드는 데 나름대로의 분명한 관심을 갖고 있다. 대만산 반도체는 미국 땅에서 생산되는 반도체에 비해 가격이 싸고, 미국과 동맹국들에 많이 팔릴수록 중국은 얻는 게 적다.

 

그러나 만약 기후변화가 대만에 가뭄뿐만 아니라 지진과 태풍까지 더 빈번하게 만든다면, 글로벌 반도체 부족은 반복될 것이고 또 지정학적 권력 다툼이 될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국내 언론에만 집중하면,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우수성'에만 주목하기 쉽지만

사실 글로벌 반도체 공급사슬을 주도하는 가장 중요한 나라는 대만임

세계 시스템 반도체 생산을 주도하는 국가로서 대만, 그리고 대만의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TSMC의 중요성을 주목해야..

 

올해 봄에 대만에 최악의 가뭄이 닥쳐서(아열대 몬순 기후인 대만에 작년에 태풍이 안와서)

이로 인한 대만 TSMC 파운드리가 반도체 생산에 차질을 빚어 글로벌 반도체 공급사슬이 막힐 위험에 처하는 부분을

수많은 국가들이 초미의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음을 새삼스럽게 알게 됨

 

게다가 중국이 이러한 대만의 반도체 생산 능력에 탐을 내서

대만을 합병한다면... ㄷㄷ 물론 중국이 정말 전쟁을 할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겠지만

어쨌든 이러한 지정학적 리스크를 안고 있는 대만에 대해

미국은 자유주의의 수호를 위해서는 물론 반도체 상품 사슬의 사수를 위해서라도 대책이 필요함

 

대만 반도체 산업 이슈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기후변화는 물론 미중 지정학적 갈등까지도

여러 이야기가 만나는 흥미로운 이슈임

 

 

 


 

 

 

https://www.cnbc.com/2021/04/12/us-semiconductor-policy-looks-to-cut-out-china-secure-supply-chain.html?mc_cid=faeeac9b83&mc_eid=2b202c5f69 

 

How Asia came to dominate chipmaking and what the U.S. wants to do about it

A global semiconductor shortage and tensions with China have bolstered U.S. scrutiny of the supply chain and created a drive to regain leadership.

www.cnbc.com

2021년 4월 11일 CNBC 기사

 

이를 친절하게 전문 번역해 놓은 아래 글을 읽음

 

 

https://newspeppermint.com/2021/04/19/tech-how-asia-came-to-dominate-chipmaking/?fbclid=IwAR10J-J7j2AEWJa7OwRN6MgeuRBxT7VtgKsSMP4Kw59NtwHz35jASlVnZ0g 

 

아시아가 글로벌 반도체 생산을 장악한 배경과 미국의 향후 행보

(CNBC, Arjun Kharpal)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패권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합니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로 세계 각국에서 자동차 생산이 중단되고 미중 간 기술경쟁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미국

newspeppermint.com

 

반도체 생산을 이야기할 때 두 기업을 떠올리게 됩니다. 대만의 TSMC와 한국의 삼성전자입니다. 이 두 기업은 글로벌 반도체 생산량의 70% 이상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한때 선두였던 미국의 기업들은 사업 모델을 전환하면서 반도체 생산 분야의 주도권을 내줬습니다.

 

-> 미국의 기업이 '주도권'을 내줬다는 표현에서... 

경제지리학의 '상품 사슬(commodity chain)'의 거버넌스 분류가 기억이 났음

상품 사슬 내에서 어떤 주체가 사슬의 구축, 배치, 운영 등을 주도하느냐? 

생산자 주도 / 구매자 주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보통 기술과 자본이 필요한 비행기, 자동차, 컴퓨터, 반도체 등의 산업에서는

기술, 자본을 소유한 기업이 생산과정까지 수직적으로 통합하여 상품 사슬을 주도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팹리스(fabless) 업체는 반도체를 설계만 하고, 생산은 다른 기업에 아웃소싱합니다. 이때 생산을 담당하는 업체가 파운드리(foundry) 기업입니다. 이들은 팹리스 업체의 생산 주문을 받아 직접 반도체를 제조합니다. 대만의 TSMC와 한국의 삼성전자가 가장 큰 파운드리 업체입니다.
지난 15년 동안 미국 기업들은 종합 반도체 기업에서 설계만 맡는 팹리스 업체로 전환해 왔습니다. 제조를 맡은 TSMC와 삼성전자는 첨단 반도체 생산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제조 역량을 높여왔습니다. 이 결과, 이제는 애플이 아이폰에 필요한 최신 반도체를 구하려면 TSMC에 생산을 맡겨야만 합니다.

 

-> 하지만 반도체 산업의 최근 15년 동안의 변화를 보면 오히려 반대의 현상이 나타남

미국의 반도체 기술을 가진 설계 기업 fabless들이 생산 기능을 축소하고

생산 기능을 동아시아의 대만, 한국 foundry에게 전적으로 외주하게 되면서,

점차 TSMC, 삼성이 반도체 생산과 관련한 배타적인 경쟁력을 갖추면서

오히려 미국 기업이 반도체 공급량이 줄어들면 대만, 한국의 기업에 구걸하는 상황이 발생함

'생산자 주도' 상품사슬에서 '생산 기능'을 소유하고 있음의 가치를 간과했다고나 할까...

 

 

 

 

 

조 바이든 대통령은 제조업의 주도권을 되찾고 반도체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합니다.
지난 2월 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 공급망의 리스크를 점검하고 조사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2조 달러(2,200조 원) 규모의 경기부양책 중 500억 달러(56조 원)를 반도체 제조와 연구개발에 할당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인텔은 지난 3월 새로운 반도체 생산 공장을 짓기 위해 200억 달러(22조 원)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계획이 이뤄지면 반도체 생산을 TSMC와 삼성전자 등 해외 공장에 의존하는 상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기후변화, 미중갈등에 노출된 동아시아의(특히 대만!) 반도체 공급망의 위기 속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을 전격 실시함

즉 미국에서 동아시아로 태평양을 건너간 반도체 산업의 생산 기능의 오프쇼어링(offshoring)에 대해

다시 생산 기능을 불러오는 리쇼어링을 하는 것...

 

 

 

 

 

https://www.cnbc.com/2021/10/16/tsmc-taiwanese-chipmaker-ramping-production-to-end-chip-shortage.html

 

Inside TSMC, the Taiwanese chipmaking giant that's building a new plant in Phoenix

Taiwan Semiconductor is investing $100 billion to ramp up production during the chip shortage. Its Phoenix plant will bring chip manufacturing back to the U.S.

www.cnbc.com

2021년 10월 16일 CNBC 기사

애리조나 피닉스에 짓고 있는 TSMC 공장에 대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