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지리/지형과 생활

메콩강의 모래는 어디로, 왜 사라질까?

by 디에고가르시아 2021. 12. 31.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Mekongbasin.jpg

 

메콩강은 중국과 동남아시아를 흘러가는 국제하천임. 

중국의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흘러(중국 구간에서는 '란창강(Lancang Jiang)'이라고 불림)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를 거쳐 베트남에서 바다와 만남.

동남아시아의 내륙 5개국을 모두 거치는 하천이고, 인근 주민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역할을 하는 강임

 

그런데 메콩강의 모래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함

메콩강의 모래는 어디로 사라지고 있고, 왜 그런 것일까?

그리고 이는 어떤 지형적, 환경적 문제를 야기할까?

 

 

 


 

1. 골재용 모래 채굴

https://www.pinterest.co.kr/pin/785455991247070026/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멘트만이 아니라 모래, 자갈이 필요함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는 건물, 도로 등 인프라를 건설하기 위해 콘크리트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는 하천에서 고운 모래와 자갈 등 골재가 많이 필요한 현상으로 이어짐

 

 

https://eos.org/articles/satellites-spy-on-sand-mining-in-the-mekong

 

Satellites Spy on Sand Mining in the Mekong - Eos

Concrete, used in everything from streets to skyscrapers, needs sand, often mined from active rivers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little oversight. Researchers can now use satellites to keep watch.

eos.org

우리는 모래가 어디서 채굴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이 채굴되고 있는지 감을 잡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모래가 필요하다. 그냥 모래가 아니다. 강이 퇴적물을 운반하고, 알갱이가 충돌하면서, 작은 돌의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된다. 그 거친 표면은 강 모래, 자갈 및 시멘트와 함께 혼합되어 현대 세계의 물리적 기초인 콘크리트를 만들 때 골재로 활용된다.

비록 모래는 물 다음으로 두 번째로 수요가 많은 자원일지라도, 그것은 무한한 상품처럼 보이기 때문에 몰이해적이고 남용되고 있다고, 퀘벡 주 몬트리올에 있는 맥길 대학 조교수이자 자연지리학자 메테 벤딕슨(Mette Bendixen)이 말했다. 그녀는 "우리는 모래가 어디서 채굴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이 채굴되고 있는지에 대해 감을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영국 뉴캐슬 대학교의 펠로우이자 하천지형학자인 크리스 해크니(Chris Hackney)와 그의 동료들은 위성 이미지를 사용하여 캄보디아 메콩 강의 짧은 구간에서 모래 채굴을 추적했다. 그와 그의 동료들은 연구지역에서 제거되는 모래의 양이 2016년과 2020년 사이에 연간 약 2,400만에서 5,900만 톤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새로운 추정치는 최근 도시화가 증가하기 전에 수집된 이전 추정치를 훨씬 초과한다.
(...)

해크니가 말하길, 메콩강 유역 도처에서 정박해 있던 모래 채굴선들이 하루에 2~3시간 동안 모래를 흡입하거나 또는 채굴기로 파냈다. 모래를 가득 채우면, 채굴선들은 짐을 내리기 위해 다른 곳으로 칙칙거리며 이동한다. 해크니와 그의 공동 저자들은 위성사진에서 이 선박들에게 주목하면서, 2~3일마다 하늘에서 찍은 구름 없는 스냅사진을 조합한 월별 합성 위성사진을 체계적으로 샅샅이 뒤져서 채굴선들의 수를 셌다.

해크니는 "우리는 이 채굴선들이 얼마나 많은 물질을 파내고 있는지 정확히 알고 싶었다"며, "그것이 매년 어떻게 변하는지 알고 싶었다"고 말했다.

2016년 이후 위성사진에 따르면 선박의 수가 순증가를 보였다. 해크니와 그의 동료들은 선박의 개수를 모래 부피로 변환하기 위해 구글 어스 이미지와 드론 영상을 이용하여 선박의 적재 용량을 계산했다. 그들은 2020년에 이 지역에서 제거된 모래의 양이 전체 메콩강 하류 분지의 이전 추정치보다 더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

 

 

사막에 아무리 모래가 많아도, 그 모래의 대부분은 콘크리트용 골재 모래가 되기 힘듦

하지만 다른 자원에 비해 오래전부터 너무나도 당연히 사용되어와서 그런지, 제대로 된 통계가 없다고 함

(우리나라도 서울 한강에 한때 모래톱이 드넓게 펼쳐져 있었지만, 경제개발 시기에 대부분 골재로 파헤쳐졌다고..)

 

지리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메콩강의 골재용 모래 채굴 규모가 연구되었는데

최근 4년 사이 급격히 증가함이 눈에 띄고, 하천에 의해 퇴적되는 정도보다 훨씬 많이 채굴되고 있다고..

 

한편 해크니 등의 연구에서는 '원격탐사(Remote Sensing)' 방법의 사례를 하나 확인할 수 있음

멀리 떨어진 국가의 광범위한 규모의 데이터인 경우,

그리고 정부에서 공식 통계를 구하지 않아 데이터를 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위성사진의 골재 채굴선 수를 조사하고 선박 갯수와 모래 부피값을 통해 모래 채굴 정도를 추산하는...

 

 


 

 

2. 상류의 댐 건설

https://microhydrony.org/2019/10/30/impounded-sediment/

하천에 댐을 건설하면 여러 환경지리적인 변화가 나타남

그 중에서 특히 퇴적물의 퇴적 양식 변화에 주목하면,

댐의 상류에는 흐름이 차단된 저수지 바닥에 퇴적물이 점점 쌓이고(impounded sediment)

반면에 댐의 하류에는 하상에 쌓여야 할 퇴적물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점점 침식되고 하상이 낮아짐(riverbed degrades)

 

메콩강은 워낙 유량이 많아 댐 건설이 어렵고, 인근에 산업 발달이 미미해서 전력 수요도 적었으나..

최근 인근 국가들의 경제개발로 인해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홍수조절 기능이 요구되면서

댐 건설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이로 인해 강 하류의 모래, 흙 등 퇴적물의 공급량이 축소되고 있음

 

 

https://www.thethirdpole.net/en/regional-cooperation/mekong-dams-destroy-tonle-sap-lake/

 

https://www.thethirdpole.net/en/regional-cooperation/mekong-dams-destroy-tonle-sap-lake/

 

 

https://www.thethirdpole.net/en/energy/what-are-the-impacts-of-dams-on-the-mekong-river/

 

What are the impacts of dams on the Mekong river?

Hydropower dams have had a dramatic effect on the Mekong river, with drastic consequences for biodiversity and fisheries.

www.thethirdpole.net

중국은 1995년 윈난성에 메콩강 본류 최초의 수력발전 댐인 만완 댐(Manwan dam)을 완공한 후, 10개를 더 계획하고 건설했다. 11개의 수력발전 댐이 메콩강 본류의 라오스 및 캄보디아에서 다양한 계획 및 건설 단계에 있으며 지류에 수백 개의 댐이 있다.
(...)

에너지 수요는 2025년까지 메콩강 하류 분지에서 매년 6-7%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력발전은 화석 연료의 중요한 대체재임이 입증되었다. 2005년과 2015년 사이에, 메콩강 하류 분지의 수력 발전량은 9.3 GWh에서 32.4 GWh로 증가했다.

수력 발전은 또한 메콩강 하류 분지 국가들에게 수입과 외국인 투자의 원천으로서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라오스의 자야부리 댐은 메콩강 하류에 있는 두 개의 댐 중 하나이며, 발전량의 95% 이상을 이웃 태국에 판매한다. 메콩강위원회에 따르면 2040년에는 수력발전을 통한 경제적 이익이 무려 16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동남아시아가 기후 변화에 적응함으로써, 수력 발전 및 홍수 조절 댐을 위해 개발된 저수지는 관개 프로젝트에 유용할 수 있으며, 건기와 우기 사이의 극적인 변화를 고려할 때 용수 공급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

티베트 고원과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부터 강을 통해 운반된 퇴적물은 메콩강 유역의 독특한 생태계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거대한 수력 발전 댐은 상당한 양의 퇴적물이 하류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한다. 강 퇴적물이 범람원의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는데, 퇴적물이 하중이 감소되면서 농업에서 어업과 양식까지 경제적 수익을 메콩강에 의존하는 동남아시아의 6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천 년 동안 중국 윈난성에서 베트남까지 흘러갔던 퇴적물은, 비교적 최근에 중국 강변에 건설된 수력발전 댐이 많이 생긴 데다가, 강바닥에서의 대규모 모래 채굴로 인해 심각하게 고갈됐다. 이로 인해 인구가 많은 메콩강 삼각주 지역의 하류 강둑이 무너져 주택과 도로가 떠내려갔다.
(...)

 

댐 건설을 특히 주도하는 국가는, 처음에는 란창강 유역의 중국이었고

동남아시아 내륙국 중에서도 경제적으로 빈곤한 편인 라오스가 최근에 주도하고 있음

라오스 정부 주도로 건설된 거대한 수력발전 댐은, 막대한 유량을 통한 많은 전력 생산을 가져오고

이는 라오스 정부의 외화벌이 수단 및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음

하지만 상류의 댐 건설은 하류의 모래 등 퇴적물 공급 차단으로 이어짐

 

위에서 언급한, 1.하천에서 골재용 모래 채굴량 증가에 더해서, 2.상류의 댐 건설로 인해 모래 공급량 자체의 감소는

하류의 퇴적물 수지 측면에서는 엎친 데 덮친 격의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음

 

이로 인해 하류의 범람원 및 삼각주 등 퇴적지형의 퇴적물 감소로 인한 침식,

비옥도 저하로 인한 농업생산량 감소 등으로 이어짐

 

 

 


 

 

3. '모래 마피아' 싱가포르의 막대한 모래 수요

https://en.wikipedia.org/wiki/Singapore#/media/File:Marina_Bay,_Financial_District_and_Singapore_River_(35622190292).jpg

 

동남아시아 국가들 중 가장 선진 경제 구조를 가지고, 현대적인 도시 경관을 자랑하는 싱가포르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좁은 국토 면적이 오래전부터 고민거리였음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꾸준히 해안 매립을 통해 국토 면적을 넓혀왔고

그러한 매립지에 고층 업무 및 상업용, 주거용 건물들을 빼곡하게 지어옴

위 사진에서 보이는, 싱가포르를 상징하는 현대적인 경관 지구의 대부분은 해안 매립에 의해 만들어진 토지임

 

그리고 이러한 건물, 매립지 등을 만드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 바로 '모래'임

싱가포르는 어떤 국가들보다도 건설용 골재 수요가 컸고

어떤 자원보다도 무게가 무거운 자원인 모래는 멀리서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이 있으면서도 모래 공급량이 많은 대하천인 메콩강은 싱가포르 입장에서는 좋은 자원 공급처가 되었음

 

 

https://www.globalconstructionreview.com/sand-mafias-are-destroying-beaches-and-habitat-rep/

 

"Sand mafias" are destroying beaches and habitat, report warns - Global Construction Review

With global demand for sand and gravel standing at up to 50 billion tonnes per year – and forecast to rise 5.5% a year – a UN report has sounded…

www.globalconstructionreview.com

모래에 미친 싱가포르(Sand-mad Singapore)

팽창하는 도시 국가 싱가포르는 특히 모래에 대한 욕심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모래 수입국인 이 회사는 골재를 바다에 투기하여 지난 40년 동안 육지 면적을 20% 이상 늘렸다.
모래와 자갈에 대한 싱가포르의 수요는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모래 채굴 증가를 촉발했다.
한편,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에 영향을 미치는 메콩 분지의 모래 채굴은 삼각주 침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고서는 또한 보고된 싱가포르의 총 모래 수입량(5억 1700만 톤)과 4개 이웃 국가에서 싱가포르로 수출한 총 모래 양(6억 3700만 톤) 사이의 불일치를 지적한다.

 

'모래 마피아' '모래에 미친' 싱가포르는, 해안 매립과 빌딩 건축을 위해 막대한 모래를 수입하고 있음

이로 인해 메콩강 유역의 국가들은 여러 환경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래를 지속적으로 채굴하고 수출함

 

메콩강 유역의 국가들에서 수출되는 모래 양과, 싱가포르에서 수입하는 모래 양이 불일치하고 있다는 부분도 인상깊음

해당 유역의 모래 수출입 산업에서 비공식 경제가 차지하는 부분이 꽤 많은 것으로 추정됨

 

 

 

 

https://earthobservatory.sg/project/geography-sand-mining-asia-and-its-environmental-impacts

 

Geography of sand mining in Asia and its environmental impacts

Unsustainable sand extraction at the current rate could possibly lead to serious impacts on the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ies, and affect international relations.

earthobservatory.sg

이러한 싱가포르-메콩강 국가들의 모래 수출입으로 인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싱가포르에서는 이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중임

 

-메콩강의 연간 모래 추출율과 메콩강 삼각주의 물리적 측정 비율을 비교하는 정량적인 분석(위 글)

-메콩강 삼각주에서 모래 채굴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조사

 

등을 수행중임

싱가포르 입장에서는 메콩강 유역 국가들에 끼치는 환경문제에 대한 도의적 책임만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기도 함

왜냐하면 싱가포르는 도시국가로서 자체 식량 생산량이 거의 없다시피 하고

대부분의 식량을 메콩강 삼각주의 쌀 생산에서 충당하고 있기 때문

자국의 식량 안보 측면에서도 메콩강에 대한 지나친 모래 채굴을 하면 안되는 부분도 있음